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1 - 전라도 사투리

2025. 6. 23. 12:04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 안냐하쇼잉~ 샤띠가 왔당께요~!

"이거 뭘 배우려고 그러냐잉~?
이미 시작혀불었는디, 지금 와서 멈출 수가 없제잉~
배울 거면 확실하게, 놀 거면 끝까지 놀아불고,
하나라도 제대로 혀야 쓰것당께잉~!

그라니께!
무 뽑을라면 미리 허리띠 졸라매불고 시작허자~
중간에 포기하면 그건 무 뽑다가 뿌리만 남은 꼴 아니겄어?
그려, 가보자고잉~ 무라도 시원하게 뽑아불자~!!"

 

✅ 전라도 사투리 써먹기 좋은 표현 모음

상황 / 전라도 표현 / 표준어 뜻 / 분위기
인사 밥 묵었냐잉? 밥 먹었어? 정겨움, 안부
감탄 와따~ 거시기 쥑이네잉~ 와~ 저거 진짜 멋지다! 감탄, 칭찬
부정 안 혀! / 몰라부러~ 안 해! / 몰랐어~ 투정, 귀여움
칭찬 고맙다잉~ / 잘 혔네잉~ 고마워~ / 잘했어~ 따뜻함
부탁 좀 해주라잉~ / 도와주라잉~ 좀 해줘~ / 도와줘~ 애교 섞인 부탁
격려 힘내라잉~ / 그라믄 혀야제~ 힘내~ / 그러면 해야지! 응원, 격려
놀람 헐~ 참말이가잉?! 진짜야?! 놀람, 재미
유쾌 웃기고 자빠졌네잉~ 너무 웃기다ㅋㅋ 장난, 개그
애정 보고싶다잉~ / 니가 짱이여~ 보고 싶어~ / 네가 최고야 애정 표현
관심 어찌 살고 있냐잉~? 잘 지내? 안부, 정나미
 

🧁 이런 데 써먹기 좋아요!

  1. SNS 댓글
     “사진 거시기 쥑이네잉~ 👏👏”
     “밥은 묵었냐잉? 건강 챙겨야제~!”
  2. 여행 후기 자막
     “와따 여수 바다, 그냥 죽여부러잉~”
  3. 친한 친구 간의 톡
     “니 요즘 뭐 혀? 얼굴이 안 보이더만잉~”
  4. 블로그 제목/소제목
     “밥은 묵고 혔는가잉~? 여수 여행기 시작하자~”
  5. 감탄+칭찬+정감 다 되는 표현
     “잘 혔네잉~ 진짜루~ 니 멋지다잉~”

💬 한 줄로 써먹기

  • "그라제~ 오늘도 거시기 해부러잉~!"
  • "참말로 잘했네잉~ 내가 다 뿌듯하당께~"
  • "니가 짱이여~ 내가 인정혀불랑께~"

 

전라도 사투리 특징

1. 부드럽고 억양이 살랑살랑~

  • 말할 때 억양이 부드럽고 음이 오르락내리락 해서 듣기 편하고 친근해요.
  • 어미에 ‘-라’, ‘-잉’, ‘-구’ 같은 표현이 많이 붙어요.
구분 / 표준어 표현 / 전라도 사투리 표현 / 차이와 특징
1. ‘-라’ 가라, 먹어라 가라, 묵어라 표준어 ‘-라’와 같으나 발음이 부드럽고 억양이 살랑살랑함
2. ‘-잉’ 뭐 하니?, 어디 가니? 뭐 하잉?, 어디 가잉? ‘-니’가 ‘-잉’으로 변해 친근하고 부드러운 느낌
3. ‘-구’ 뭐라고?, 그래서 뭐라구?, 그라구! ‘-고’가 ‘-구’로 변하며, 경쾌하고 부드러운 인상
4. 인사말 안녕하세요 안녕하십니꺼 존댓말이 좀 더 길고 부드럽게 들림
5. 의문문 밥 먹었어? 밥 묵었나? ‘먹었어?’가 ‘묵었나?’로 바뀌고 끝이 올라가는 억양
핵심
  • 전라도 사투리는 표준어와 문법 구조는 비슷하지만, 어미가 달라지고 억양이 부드러워 더 친근하게 들립니다.
  • ‘-라’는 명령형, ‘-잉’은 의문형, ‘-구’는 설명이나 강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2. 종결어미가 다양하고 유연하다

  • ‘-라’(해라), ‘-잉’(해잉), ‘-구’(해구), ‘-라구’ 등 다양한 어미 사용
  • 예) 밥 먹어라 → 밥 묵어라 / 가라 → 가잉

전라도 사투리 종결어미 총정리

어미 / 뜻/용법 / 예문 (표준어 → 전라도 사투리) / 해설
-라 명령, 지시 밥 먹어라 → 밥 묵어라 ‘-라’는 명령형으로 딱딱하지 않고 부드럽게
-잉 의문, 부드러운 질문 뭐 하니? → 뭐 하잉? ‘-니’ 대신 부드럽고 살랑살랑한 ‘-잉’ 사용
-구 설명, 이유, 강조 그래서 → 그라구 / 뭐라고? → 뭐라구? ‘-고’가 ‘-구’로 변해 경쾌한 느낌
-라구 부연 설명, 재차 강조 밥 먹으라구 / 가라구 ‘-라’에 ‘-구’가 붙어 더 강조하고 친근해짐
-다 아이가 감탄, 부드러운 확인 정말이다 → 진짜다 아이가 긍정, 감탄할 때 많이 씀
-고 연결, 설명 밥 먹고 가 → 밥 묵고 가 표준어 ‘-고’와 비슷하게 연결할 때 사용
-노 의문, 확인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부드럽게 묻는 어미
-디 반어, 부정적 확인 그렇지? → 그렇디? 동의 요구하거나 부정적 의미 포함 가능
 

예문 묶음으로 보기

  • 명령형
    • 가라 → 가라
    • 밥 먹어라 → 밥 묵어라
  • 의문형
    • 뭐 하니? → 뭐 하잉?
    •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 설명/강조
    • 그래서 → 그라구
    • 뭐라고? → 뭐라구
    • 밥 먹으라구!
  • 감탄/확인
    • 진짜다 아이가!
    • 그렇지? → 그렇디?

핵심 포인트

  • 전라도 사투리 종결어미는 표준어보다 훨씬 다양하고, 상황에 따라 감정과 뉘앙스를 풍부하게 표현해 줌
  • 부드럽고 친근한 분위기를 만드는 비결이기도 함

 

3. 특유의 단어와 표현이 많다

  • ‘고마워라’ (고맙다), ‘진짜루’ (진짜로), ‘그라제’ (그래서), ‘거시기’ (그거, 뭐라고 말할지 모를 때), ‘심보’ (성격, 마음) 등
  •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가 독특하고 재미있어요.
전라도 사투리 / 표준어 의미 / 문장 예시 (전라도 사투리) / 문장 해석 (표준어)
고마워라 고맙다 고마워라, 덕분에 잘 지냈어 고마워, 덕분에 잘 지냈어
진짜루 진짜로 진짜루 맛있다! 진짜로 맛있다!
그라제 그래서 그라제 내가 먼저 갔지 그래서 내가 먼저 갔어
거시기 그거, 뭐라고 할지 모를 때 그거 말고 다른 거시기 하나 줘 그거 말고 다른 거 하나 줘
심보 성격, 마음 걔 심보가 좀 이상하다 걔 성격이 좀 이상하다
묵다 먹다 밥 묵었나? 밥 먹었니?
잰나 매우, 아주 잰나 춥다! 매우 춥다!
우짜고 어떻게 하려고 우짜고 이래 됐노? 어떻게 이래 된 거야?
어쩌시노 어떻게 지내요? 요즘 어쩌시노? 요즘 어떻게 지내요?
갑서 갑시다 이제 집에 갑서 이제 집에 갑시다
얼매나 얼마나 얼매나 기다렸노? 얼마나 기다렸니?
이거시 이것이 이거시 진짜 물건이다 이것이 진짜 물건이다
고것 그것 고것 좀 줘봐 그것 좀 줘봐
말이다 말이다 그거 잘 했어, 말이다 그거 잘 했어, 맞아
배추잎 아주 예쁜 사람 놀릴 때 걔 배추잎 같아서 귀엽다 걔 아주 예뻐서 귀엽다
괜찮다잉 괜찮다 괜찮다잉, 걱정 마 괜찮아, 걱정하지 마
달구지 마차, 수레 옛날에는 달구지 타고 다녔다 옛날에는 마차 타고 다녔다
쩔어 멋지다, 굉장하다 그 사람 완전 쩔어! 그 사람 완전 멋져!
데그라 그렇지 데그라, 네 말이 맞다 그렇지, 네 말이 맞아
모르겠다 아이가 모르겠다 나도 모르겠다 아이가 나도 모르겠다
 

 

4. 받아쓰기 할 때 ‘ㄹ’ 발음이 약하거나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 ‘달라’가 ‘다라’로 들리기도 하고, ‘멀다’가 ‘메다’로 들리기도 함

전라도 사투리 ‘ㄹ’ 발음 약화·생략 예시

표준어 단어 / 전라도 사투리 발음/표현 / 설명 및 예문
달라 다라 “이거 좀 다라 줘라.” (이거 좀 달라 줘라.)
멀다 메다 “거기서 멀지 않다 → 거기서 메지 안다.”
잘하다 자라 “그 사람 자라.” (그 사람 잘한다.)
걸다 게다 “옷을 게다 놓았어.” (옷을 걸어 놓았어.)
살다 사다 “나는 거기서 사.” (나는 거기서 산다.)
몰라 모라 “나는 모라.” (나는 몰라.)
할 일 하 일 “그거 하 일 해야 돼.” (그거 할 일 해야 돼.)
달빛 다빛 “달빛이 밝다 → 다빛이 밝다.”
열다 예다 “문을 예라.” (문을 열어라.)
걸음 게임 “천천히 게임 걸어.” (천천히 걸음 걸어.)
길다 기다 “시간이 기다.” (시간이 길다.)
말하다 마하다 “그가 마한다.” (그가 말한다.)
멀리 메리 “멀리 가지 마라 → 메리 가지 마라.”
달려 다려 “빨리 다려라!” (빨리 달려라!)
열매 예매 “사과 예매가 많다.” (사과 열매가 많다.)
 

예문 더 보기

  • “너 이거 다라 줘봐!” (달라 줘봐)
  • “바다가 메서, 물이 차다.” (멀어서, 물이 차다)
  • “그 사람 진짜 자라!” (잘한다!)
  • “옷을 저기 게라 놔라.” (걸어 놔라)
  • “난 모라, 잘 모르겠어.” (몰라)

 

5. 인사말이 독특하다

전라도 사투리 독특한 인사말 총정리

전라도 사투리 인사말 / 표준어 의미 / 설명 및 특징 / 예문
안녕하십니꺼 안녕하세요 정중하지만 부드럽고 친근함 “안녕하십니꺼, 잘 지내셨나요?”
어쩌시노 어떻게 지내세요? 상대방 안부를 물을 때 자주 쓰임 “요즘 어쩌시노? 건강하신가?”
밥 묵었나? 밥 먹었어요? 친근한 일상 인사, 식사 여부를 묻는 말 “밥 묵었나? 같이 밥 먹으러 가자.”
잘 지내셨나 잘 지내셨나요? 상대방의 안부를 부드럽게 묻는 표현 “오랜만이네, 잘 지내셨나?”
무시기 있나? 무슨 일 있나요? 안부+걱정 섞인 표현 “요즘 무시기 있나? 힘들진 않나?”
좋은 날씨제 좋은 날씨네요 날씨 언급하며 친근하게 시작하는 인사 “오늘 좋은 날씨제, 산책 좀 하셨나?”
와라, 와서 놀자 와, 와서 놀자 친근하고 정다운 초대 인사 “오랜만이제, 와라 좀 놀자!”
잘 지내는가 잘 지내니? 친근한 안부 인사 “요즘 잘 지내는가?”
무시기 좀 묵었나 뭐 좀 먹었나요? 식사 여부나 근황을 물을 때 쓰임 “오늘 무시기 좀 묵었나? 배고프진 않제?”
안녕하신가요 안녕하세요 다소 격식을 차린 인사말 “안녕하신가요, 오랜만입니다.”
 

전라도 인사말 특징

  • 존댓말이지만 부드럽고 정감 가득
  • 상대방을 살피고 걱정하는 느낌이 강함
  • ‘-니꺼’, ‘-시노’ 등의 종결어미가 특유의 느낌을 살려 줌

 

6. 높임말과 반말 경계가 자연스럽다

  • 반말도 높임말처럼 부드럽게 들리고, 높임말도 친근하게 느껴짐

✅ 전라도 사투리: 높임말과 반말 예시 비교

표준어 / 전라도 사투리 (반말) / 전라도 사투리 (높임말) / 설명
밥 먹었어? 밥 묵었냐? 밥 묵었는가예? 반말도 친근, 높임말도 부드러움
뭐 해? 뭐 하냐? 뭐 하시냐예? “~시냐예”가 높임 표현
어디 가? 어디 간다냐? 어디 가신다예? 경계가 흐려 부드럽게 들림
그거 해라 그거 해라잉~ 그거 해주시라잉~ 반말+정감 / 높임말+정감
그래? 그라냐? 그라시냐예? ‘~시냐예’로 존중의 말투 표현 가능
고맙다 고마워라~ 고맙구만요~ / 고맙습니다잉~ ‘~구만요’, ‘~잉’ 등으로 높임 표현 부드럽게
잘 있었어? 잘 지냈냐? 잘 지내셨는가예? 높임말도 따뜻하고 정다운 느낌
그랬어? 그랬다냐? 그랬다 하시더라예~ 간접화법에도 존대 섞임
모르겠어 모르겄다잉~ 모르겄습니다잉~ 동일한 어미 ‘잉’ 사용으로 부드러움
 

🔍 특징 요약

  • 전라도는 반말도 귀엽고 부드러운 어미 때문에 무례하게 들리지 않음
  • 높임말도 딱딱하지 않고 정감 있는 말투로 전달됨
  • ‘잉’, ‘예’, ‘구만요’, ‘시냐’ 등의 말미로 정서적 거리감이 좁아짐

🎭 실제 대화 예시

반말 느낌
🧒 “밥은 묵었냐잉? 그거 해라, 얼릉~”
😄 → 친한 사이에서 쓰는 말투지만 따뜻하고 정감 있음

높임말 느낌
👵 “밥은 묵으셨는가예? 그거 좀 해주시라잉~”
😊 → 존대하면서도 딱딱하지 않고 다정함


전라도 사투리 예문

표준어 / 전라도 사투리 / 해석
밥 먹었어? 밥 묵었나? 밥 먹었어요?
고마워 고마워라 고맙습니다
어디 가니? 어디 가는교 어디 가니?
그게 뭐야? 그거 뭐구 그게 뭐야?
정말 그래 진짜루 그래 정말 그래

 

✅ 전라도 vs 경상도 높임말 차이

항목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기본 정서 부드럽고 정감 어린 표현 똑 부러지고 단호한 표현
대표 어미 ~하시냐예, ~하셨는가예, ~하소, ~하시더라잉 등 ~하십니꺼, ~하이소, ~합니더, ~하이네 등
말 끝 표현 ~잉, ~예, ~잉요, ~구만요 등 ~예, ~네, ~이소, ~데이, ~입니더 등
느낌 따뜻하고 다정함. 높이되 거리감 없음 단단하고 단호함. 깍듯하고 조심스러움
존대 사용 빈도 높임말과 반말의 경계가 흐림 높임말과 반말이 뚜렷하게 나뉨
예시 상황 어르신에게: “밥 묵으셨는가예?” 어르신에게: “밥 잡숫으셨십니꺼?”
자주 쓰는 존대 ~하시더라잉, ~하셨구만요, ~하시소잉 ~하이소, ~합니더, ~하십니꺼
귀여움 요소 잉, 부러, 구만요 등이 부드러움 강조 귀여움보단 예절 강조, 똑 부러짐 강조
 

✅ 실제 예문 비교

상황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밥 먹었어요? “밥 묵으셨는가예?” “밥 잡숫으셨십니꺼?”
어디 가세요? “어디 가신다예?” “어디 가이소?”
뭐 하세요? “뭐 하시냐잉?” “뭐 하이소?”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잉~” “감사합니더”
천천히 하세요~ “느그서 허시소잉~” “천천히 하이소~”
 

✅ 한마디 정리

  • 전라도 높임말:
    → 말 끝에 “잉”, “예”, “구만요” 등을 붙여 부드럽고 정 많은 느낌
    → 반말과 존댓말 사이의 회색지대가 많아, 따뜻한 대화 분위기 형성
  • 경상도 높임말:
    → “하이소”, “합니더”, “십니꺼”처럼 딱딱하고 정확한 높임
    → 높임말과 반말이 명확히 구분되어 예의와 위계가 느껴짐

 

 

✅ 전라도 vs 경상도 반말 차이 비교표

항목 / 전라도 반말 / 경상도 반말
어미 특징 -잉, -라, -구, -부러 등 -노, -나, -데이, -네 등
말투 느낌 부드럽고 다정하며 살랑살랑~ 딱 부러지고 직설적, 강하게 들림
정서 정 많고 귀엽고 정감 어린 말투 호탕하고 쿨하며 때론 무뚝뚝하게 느껴질 수 있음
존대와 혼용 반말에도 존중의 느낌 남, 부드러움 강조 반말은 확실하게 반말, 강약이 명확함
예시 상황 “밥 묵었냐잉?” → 친근하고 살가움 “밥 묵었나?” → 단호하고 간단함
대표 어미 예시 하자잉, 묵어부러, 가라잉, 해라잉, 하구만 하자노, 묵었나, 가라, 해라, 뭐하노
귀여움 요소 말 끝에 ‘잉’, ‘부러’ 등 붙여 부드럽게 만듦 억양 세고 강하게 끊어 말하는 편
말투 예시 “어디 가냐잉~?”, “밥 묵었구만~” “어디 가노?”, “밥 묵었나?”
 

✅ 실생활 대화 예시 비교

상황 / 전라도 반말 / 경상도 반말
어디 가? “어디 가냐잉?” “어디 가노?”
뭐 해? “뭐 하구 있었냐잉?” “뭐 하노?”
그래? “그라제~” “그렇나?”
밥 먹었어? “밥 묵었냐잉?” “밥 묵었나?”
하지 마! “허지 마라잉~” “하지 마라!”
진짜야? “진짜루~?” “진짜가?”
 

✅ 말투 분위기 요약

지역 / 분위기 / 대표 느낌
전라도 부드럽고 정감 있음 “친절한 이웃집 할머니 느낌”
경상도 직설적이고 강함 “군대 고참 말투 느낌이 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