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이예~ 샤띠 왔심더~!
"이거 뭘 배울라꼬 허는기여?
이미 시작헌기라, 지금 와서 멈출 수 있겄심니꺼~
배울 거면 확실하게, 놀 거면 끝까지 놀아야지,
하나라도 제대로 해야 쓸 만 허것심더~!
그라니께!
무 뽑을라믄 미리 허리띠 졸라매고 시작합시다~
중간에 포기하면 그건 무 뽑다가 뿌리만 남은 꼴 아니겄심더?
충청도 방언 , 충청도 인사말 , 충청도 반말 , 사투리 활용하는 법 , 사투리 예능에서 써먹기
그려, 가보자요~ 무라도 시원하게 뽑아 봅시다~!!"
✅ 충청도 사투리 써먹기 좋은 표현 모음
상황 / 충청도 표현 / 표준어 뜻 / 분위기
인사 | 밥 무라나? / 밥 무라예? | 밥 먹었어? | 정겹고 편안함 |
감탄 | 우와~ 참말로 짱이구먼~ | 와~ 진짜 멋지다! | 감탄, 칭찬 |
부정 | 안 해예! / 몰라유~ | 안 해! / 몰랐어! | 투정, 귀여움 |
칭찬 | 고마유~ / 참 잘 했심더~ | 고마워~ / 잘했어~ | 따뜻함 |
부탁 | 좀 해 주이소~ / 도와 주이소~ | 좀 해줘~ / 도와줘~ | 정중하면서도 친근함 |
격려 | 힘 내유~ / 그래야제~ | 힘내~ / 그래야지! | 응원, 격려 |
놀람 | 어머나~ 진짜라유?! | 진짜야?! | 놀람, 재미 |
유쾌 | 웃기고 자빠졌구만유~ | 너무 웃기다 ㅋㅋ | 장난, 개그 |
애정 | 보고 싶심더~ / 니가 짱이유~ | 보고 싶어~ / 네가 최고야 | 애정 표현 |
관심 | 어찌 지내유? | 잘 지내? | 안부, 관심 |
🧁 이런 데 써먹기 좋아유!
- SNS 댓글
“사진 참말로 짱이구먼유~ 👏👏”
“밥 무라나? 건강 잘 챙기이소~!” - 여행 후기 자막
“와~ 대전 하늘, 그냥 끝내주구만유~” - 친한 친구 간 톡
“니 요즘 뭐 하유? 얼굴이 안 보이더만유~” - 블로그 제목/소제목
“밥 무라 봤심더? 대전 여행기 시작합시다~” - 감탄+칭찬+정감 다 되는 표현
“참 잘 했심더~ 진짜루~ 니 멋지구먼유~”
💬 한 줄로 써먹기
- "그라유~ 오늘도 잘 해 보이소~!"
- "참말로 잘 했심더~ 내가 다 뿌듯하구만유~"
- "니가 짱이유~ 내가 인정해유~"
충청도 사투리 특징
- 부드럽고 음이 살랑살랑~
말할 때 억양이 부드럽고 음의 높낮이가 자연스러워 듣기 편하고 정감 있어유. - 어미에 ‘-유’, ‘-예’, ‘-구먼’ 같은 표현이 자주 붙습니더.
구분별 충청도 사투리 어미와 특징
구분 / 표준어 표현 / 충청도 사투리 표현 / 차이와 특징
‘-유’ | 가라, 먹어라 | 가유, 무라유 | 표준어 ‘-라’보다 부드럽고 다정함 |
‘-예’ | 뭐 하니?, 어디 가니? | 뭐 하예?, 어디 가예? | ‘-니’가 ‘-예’로 변해 친근하고 부드러움 |
‘-구먼’ | 뭐라고?, 그래서 | 뭐라구먼?, 그라구먼! | 강조하거나 친근함을 더하는 표현 |
인사말 | 안녕하세요 | 안녕하십니까유 | 정중하면서도 부드럽고 편안함 |
의문문 | 밥 먹었어? | 밥 무라나? | 끝이 올라가는 억양, 부드러운 질문 |
충청도 사투리 종결어미 총정리
어미 / 뜻,용법 / 예문 (표준어 → 충청도 사투리) / 해설
-유 | 명령, 지시 | 밥 먹어라 → 밥 무라유 |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명령형 |
-예 | 의문, 부드러운 질문 | 뭐 하니? → 뭐 하예? | ‘-니’ 대신 부드러운 ‘-예’ 사용 |
-구먼 | 설명, 이유, 강조 | 그래서 → 그라구먼 | 강조하거나 친근함 부여 |
-라유 | 부연 설명, 재차 강조 | 밥 먹으라유 | ‘-라’에 ‘-유’가 붙어 더 강조됨 |
-다 아이가 | 감탄, 확인 | 정말이다 → 진짜다 아이가 | 긍정, 감탄 표현 |
-고 | 연결, 설명 | 밥 먹고 가 → 밥 무고 가 | 표준어 ‘-고’와 유사하게 연결 |
-노 | 의문, 확인 |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 부드러운 확인 어미 |
-디 | 반어, 부정적 확인 | 그렇지? → 그렇디? | 동의 요구, 부정 의미 |
예문 묶음
- 명령형
가라 → 가유
밥 먹어라 → 밥 무라유 - 의문형
뭐 하니? → 뭐 하예?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 설명/강조
그래서 → 그라구먼
뭐라고? → 뭐라구먼
밥 먹으라구! → 밥 무라유! - 감탄/확인
진짜다 아이가!
그렇지? → 그렇디?
핵심 포인트
충청도 사투리 종결어미는 부드럽고 다양하며, 상황에 따라 감정과 뉘앙스를 풍부하게 표현해 줍니다.
따뜻하고 친근한 분위기를 만드는 비결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더~!
충청도 사투리 특유 단어 & 표현 정리
충청도 사투리 / 표준어 의미 / 설명 및 문장 예시
유 / 유~ | ~요 (존댓말 어미) | 말 끝에 붙여 부드럽고 존댓말 느낌을 냄. |
예) 고마워유 / 잘 잤심더유? | ||
심더 | ~했어요 (과거 존댓말 어미) | 예) 잘 잤심더 / 밥 묵었심더? |
그라제 | 그래서 | 예) 그라제 내가 먼저 갔심더 |
이만혀유 | 이만할게요 (이만 할게요) | 예) 이만혀유, 나 갈게유 |
말이다 / 말이여 | 맞다, 그렇다 | 예) 그거 잘 했심더, 말이여 |
배추잎 | 예쁜 사람 (귀엽게 놀릴 때) | 예) 걔 배추잎 같아서 귀엽심더 |
쩔어유 | 멋지다, 끝내준다 | 예) 그 사람 완전 쩔어유! |
우짜고 | 어떻게 하려고 | 예) 우짜고 이래 됐심더? |
고것 | 그것 | 예) 고것 좀 줘유 |
그라모 | 그래도 | 예) 그라모 내가 할란다유 |
갑서 | 갑시다 | 예) 이제 집에 갑서 |
얼매나 | 얼마나 | 예) 얼매나 기다렸심? |
어쩌시노 | 어떻게 지내세요? | 예) 요즘 어쩌시노? |
묵다 | 먹다 | 예) 밥 묵었심꺼? |
아부지 | 아버지 | 예) 아부지 어디가심? |
어무니 | 어머니 | 예) 어무니 안녕하심더? |
니기리 | 너 (친근한 말투) | 예) 니기리 어디 가노? |
덜그럭덜그럭 | 덜컹덜컹 (소리) | 예) 달구지가 덜그럭덜그럭 움직인다 |
그라지마 | 그러지 마 | 예) 그라지마라, 다 괜찮심더 |
괜찮다잉 | 괜찮아, 문제없어 | 예) 괜찮다잉, 걱정 마유 |
얼매나유 | 얼마나요? | 예) 얼매나유 기다리셨심? |
데그라 | 그렇지 | 예) 데그라, 네 말이 맞심더 |
충청도 사투리 특징
- 말 끝에 ‘-유’, ‘-심더’, ‘-이여’ 등 부드럽고 살짝 늘어지는 어미가 많음
- 존댓말과 반말이 자연스럽게 섞인 느낌 (예: ‘고마워유’, ‘밥 묵었심더’)
- ‘그라제’, ‘우짜고’처럼 의문사나 연결어가 특징적
- ‘배추잎’ 같은 귀엽거나 놀릴 때 쓰는 별칭이 많음
- 어휘가 부드럽고 친근한 느낌을 줌
전라도·경상도·충청도 사투리 발음 약화·생략 비교
구분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 충청도 사투리
받침 약화/생략 | ‘것’ → ‘거시기’ 줄여서 ‘거시’처럼 받침 흐려짐 예: “거시기 좀 줘” 발음 약해짐 |
받침 발음이 비교적 강함 예: ‘것’ → ‘것’ (뚜렷하게 발음) |
받침이 부드럽고 약해짐 예: ‘갑서’ → ‘갑써’(서가 써로) 발음 약함 |
모음 약화/축약 | 어미 모음이 약해짐 예: “진짜루” → ‘진짜루’ 약하게 흐름 |
모음 강세가 강함 예: “진짜로”가 강하게 발음 |
모음 늘어지고 흐려짐 예: “진짜루” → ‘진짜루~’ 끝 음 약해짐 |
음절 탈락/생략 | 중간 음절 탈락 많음 예: ‘그라제’ → ‘그라제’(비슷하지만 줄어듦) |
음절 완전 탈락 적음 예: ‘그라제’ 강하게 발음 |
중간, 끝 음절 축약 흔함 예: ‘모르겠다’ → ‘모르겄다’ |
연음 현상 |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연음 | 자음 분명히 끊는 편 | 부드럽고 느릿느릿 이어짐 |
끝소리 변화 | ‘심보’ → ‘심부’ 같은 변화도 있음 | 끝소리 변화 적음 | ‘심보’ → ‘심버’로 변화 흔함 |
대표 예시 문장별 비교
문장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 충청도 사투리
“그거 좀 줘” | “거시기 좀 줘” (받침 흐림) | “그것 좀 줘” (뚜렷) | “고것 좀 줘유” (받침 약함) |
“진짜로 맛있다” | “진짜루 맛있다” (모음 약화) | “진짜로 맛있다” (강세 뚜렷) | “진짜루 맛있네유” (끝 음 흐림) |
“어떻게 지내요?” | “어쩌시나?” (모음 줄임) | “어케 지내노?” (강한 어미) | “어쩌시노?” (느릿하고 부드러움) |
“모르겠다 아이가” | “모르겠다 아이가” (모음 약화) | “모르겠다 아이가” (강세 뚜렷) | “모르겄다 아이가” (음절 축약) |
정리
- 전라도: 모음 약화와 중간 음절 탈락이 많고, 부드럽고 느린 말투
- 경상도: 발음 강하고 명확하며, 받침과 음절이 잘 살아 있음
- 충청도: 받침과 모음이 흐려지고 축약되는 현상이 많으며, 느릿느릿 부드럽게 이어짐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각 지역별 인사말 15가지씩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전라도 인사말 / 경상도 인사말 / 충청도 인사말
어찌 지내시나? | 어데 가노? | 어쩌시노? |
밥 묵었심나? | 머하노? | 밥 묵었심꺼? |
안녕하신교? | 안녕하십니꺼? | 고마워유 |
고마워라 | 밥 무라 | 갑서 |
잘 지냈나? | 고마우이 | 잘 있심더유? |
오늘 날씨가 어떻나? | 오늘 날씨가 어떻노? | 오늘 날씨 어떠심유? |
뭐하노? | 뭐 하노? | 뭐 허유? |
잘 자라 | 잘 자라 | 잘 자유 |
어데 살고 있노? | 어데 사노? | 어데 살심유? |
밥 먹었나? | 밥 묵었나? | 밥 묵었심유? |
건강하제 | 건강하노? | 건강하심유? |
잘 있었나? | 잘 있었노? | 잘 있었심유? |
오랜만이네 | 오랜만이노 | 오랜만이심유 |
뭐 묵을라우? | 뭐 묵을래? | 뭐 묵을라우? |
오늘 어데 갈라카노? | 오늘 어데 갈라카? | 오늘 어데 갈라우? |
전라도·경상도·충청도 높임말 비교
구분 / 전라도 높임말 특징 / 경상도 높임말 특징 / 충청도 높임말 특징
말 끝 어미 | ‘-심다’, ‘-심니’, ‘-심더’ 많이 사용 예) “어쩌시나?”, “밥 묵었심니?” |
‘-니꺼’, ‘-이소’, ‘-십니꺼’ 등 강한 존댓말 예) “어디 가십니꺼?”, “밥 무라 이소” |
‘-심더’, ‘-유’ 어미가 많고 부드러움 예) “어쩌시노?”, “밥 묵었심유?” |
존댓말 강도 | 부드럽고 친근한 존댓말 느낌 가끔 반말 섞임 |
강하고 공식적인 존댓말 많음 엄격한 어투 |
부드럽고 느릿느릿한 존댓말 매우 친근하고 자연스러움 |
대표 인사말 | “어쩌시나?”, “밥 묵었심니?”, “안녕하신교?” | “안녕하십니꺼?”, “어디 가십니꺼?” | “어쩌시노?”, “밥 묵었심유?”, “안녕하심더유?” |
명령형 존댓말 | ‘-소’ 어미 사용 예) “가소”, “오소” |
‘-이소’, ‘-이래’ 사용 예) “가이소”, “오이래” |
‘-서’ 어미 사용 예) “갑서”, “와서” |
감탄 표현 | ‘고마워라’, ‘고맙심다’ | ‘고마우이’, ‘감사하이소’ | ‘고마워유’, ‘감사합니더’ |
전라도·경상도·충청도 반말 비교
구분 / 전라도 반말 특징 / 경상도 반말 특징 / 충청도 반말 특징
말 끝 어미 | ‘-나’, ‘-다’, ‘-라’ 자주 사용 예) “뭐 하노?”, “밥 묵었나?” |
‘-노’, ‘-나’, ‘-재’ 사용 예) “머하노?”, “밥 무라” |
‘-유’, ‘-야’, ‘-다’ 사용 예) “뭐 허유?”, “밥 묵었나?” |
말투 분위기 | 부드럽고 다정한 느낌 존댓말과 자연스레 섞임 |
직설적이고 강한 느낌 짧고 굵게 표현 |
부드럽고 느릿느릿한 느낌 친근하고 살짝 늘어짐 |
대표 표현 | “어디 가노?”, “밥 묵었나?”, “뭐 하노?” | “어데 가노?”, “밥 무라”, “머하노?” | “어디 가유?”, “밥 묵었나?”, “뭐 허유?” |
명령형 | ‘-라’ 많이 사용 예) “가라!”, “와라!” |
‘-라’, ‘-재’ 자주 사용 예) “가라!”, “오재!” |
‘-서’, ‘-유’ 사용 예) “갑서”, “와유” |
친근한 부르기 | ‘니’, ‘너’ 많이 사용 | ‘니’, ‘너’ 많이 사용 | ‘니’, ‘니기리’(친근한 느낌) 사용 |
'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띠 학당] 전국 사투리 인사말 백선: 전라도부터 함경도·평안도까지 (10) | 2025.06.23 |
---|---|
[샤띠 학당] 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4 - 제주도 사투리 (8) | 2025.06.23 |
[샤띠 학당] 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2 - 경상도 사투리 (3) | 2025.06.23 |
[샤띠 학당] 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1 - 전라도 사투리 (3)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