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샤띠 학당] 대한민국 사투리 배우기 3 - 충청도 사투리

쁘띠샤띠RA 2025. 6. 23. 14:48

🐌 안녕하이예~ 샤띠 왔심더~!


"이거 뭘 배울라꼬 허는기여?
이미 시작헌기라, 지금 와서 멈출 수 있겄심니꺼~
배울 거면 확실하게, 놀 거면 끝까지 놀아야지,
하나라도 제대로 해야 쓸 만 허것심더~!

그라니께!
무 뽑을라믄 미리 허리띠 졸라매고 시작합시다~
중간에 포기하면 그건 무 뽑다가 뿌리만 남은 꼴 아니겄심더?

충청도 방언 , 충청도 인사말 , 충청도 반말 , 사투리 활용하는 법 , 사투리 예능에서 써먹기
그려, 가보자요~ 무라도 시원하게 뽑아 봅시다~!!"

 

 

✅ 충청도 사투리 써먹기 좋은 표현 모음

상황 / 충청도 표현 / 표준어 뜻 / 분위기
인사 밥 무라나? / 밥 무라예? 밥 먹었어? 정겹고 편안함
감탄 우와~ 참말로 짱이구먼~ 와~ 진짜 멋지다! 감탄, 칭찬
부정 안 해예! / 몰라유~ 안 해! / 몰랐어! 투정, 귀여움
칭찬 고마유~ / 참 잘 했심더~ 고마워~ / 잘했어~ 따뜻함
부탁 좀 해 주이소~ / 도와 주이소~ 좀 해줘~ / 도와줘~ 정중하면서도 친근함
격려 힘 내유~ / 그래야제~ 힘내~ / 그래야지! 응원, 격려
놀람 어머나~ 진짜라유?! 진짜야?! 놀람, 재미
유쾌 웃기고 자빠졌구만유~ 너무 웃기다 ㅋㅋ 장난, 개그
애정 보고 싶심더~ / 니가 짱이유~ 보고 싶어~ / 네가 최고야 애정 표현
관심 어찌 지내유? 잘 지내? 안부, 관심

 

🧁 이런 데 써먹기 좋아유!

  • SNS 댓글
     “사진 참말로 짱이구먼유~ 👏👏”
     “밥 무라나? 건강 잘 챙기이소~!”
  • 여행 후기 자막
     “와~ 대전 하늘, 그냥 끝내주구만유~”
  • 친한 친구 간 톡
     “니 요즘 뭐 하유? 얼굴이 안 보이더만유~”
  • 블로그 제목/소제목
     “밥 무라 봤심더? 대전 여행기 시작합시다~”
  • 감탄+칭찬+정감 다 되는 표현
     “참 잘 했심더~ 진짜루~ 니 멋지구먼유~”

💬 한 줄로 써먹기

  • "그라유~ 오늘도 잘 해 보이소~!"
  • "참말로 잘 했심더~ 내가 다 뿌듯하구만유~"
  • "니가 짱이유~ 내가 인정해유~"

충청도 사투리 특징

  • 부드럽고 음이 살랑살랑~
    말할 때 억양이 부드럽고 음의 높낮이가 자연스러워 듣기 편하고 정감 있어유.
  • 어미에 ‘-유’, ‘-예’, ‘-구먼’ 같은 표현이 자주 붙습니더.

구분별 충청도 사투리 어미와 특징

구분 / 표준어 표현 / 충청도 사투리 표현 / 차이와 특징
‘-유’ 가라, 먹어라 가유, 무라유 표준어 ‘-라’보다 부드럽고 다정함
‘-예’ 뭐 하니?, 어디 가니? 뭐 하예?, 어디 가예? ‘-니’가 ‘-예’로 변해 친근하고 부드러움
‘-구먼’ 뭐라고?, 그래서 뭐라구먼?, 그라구먼! 강조하거나 친근함을 더하는 표현
인사말 안녕하세요 안녕하십니까유 정중하면서도 부드럽고 편안함
의문문 밥 먹었어? 밥 무라나? 끝이 올라가는 억양, 부드러운 질문
 

충청도 사투리 종결어미 총정리

어미 / 뜻,용법 / 예문 (표준어 → 충청도 사투리) / 해설
-유 명령, 지시 밥 먹어라 → 밥 무라유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명령형
-예 의문, 부드러운 질문 뭐 하니? → 뭐 하예? ‘-니’ 대신 부드러운 ‘-예’ 사용
-구먼 설명, 이유, 강조 그래서 → 그라구먼 강조하거나 친근함 부여
-라유 부연 설명, 재차 강조 밥 먹으라유 ‘-라’에 ‘-유’가 붙어 더 강조됨
-다 아이가 감탄, 확인 정말이다 → 진짜다 아이가 긍정, 감탄 표현
-고 연결, 설명 밥 먹고 가 → 밥 무고 가 표준어 ‘-고’와 유사하게 연결
-노 의문, 확인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부드러운 확인 어미
-디 반어, 부정적 확인 그렇지? → 그렇디? 동의 요구, 부정 의미
 

예문 묶음

  • 명령형
    가라 → 가유
    밥 먹어라 → 밥 무라유
  • 의문형
    뭐 하니? → 뭐 하예?
    어디 가니? → 어디 가노?
  • 설명/강조
    그래서 → 그라구먼
    뭐라고? → 뭐라구먼
    밥 먹으라구! → 밥 무라유!
  • 감탄/확인
    진짜다 아이가!
    그렇지? → 그렇디?

핵심 포인트

충청도 사투리 종결어미는 부드럽고 다양하며, 상황에 따라 감정과 뉘앙스를 풍부하게 표현해 줍니다.
따뜻하고 친근한 분위기를 만드는 비결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더~!

 

 

충청도 사투리 특유 단어 & 표현 정리

충청도 사투리 / 표준어 의미 / 설명 및 문장 예시
/ 유~ ~요 (존댓말 어미) 말 끝에 붙여 부드럽고 존댓말 느낌을 냄.
예) 고마워유 / 잘 잤심더유?    
심더 ~했어요 (과거 존댓말 어미) 예) 잘 잤심더 / 밥 묵었심더?
그라제 그래서 예) 그라제 내가 먼저 갔심더
이만혀유 이만할게요 (이만 할게요) 예) 이만혀유, 나 갈게유
말이다 / 말이여 맞다, 그렇다 예) 그거 잘 했심더, 말이여
배추잎 예쁜 사람 (귀엽게 놀릴 때) 예) 걔 배추잎 같아서 귀엽심더
쩔어유 멋지다, 끝내준다 예) 그 사람 완전 쩔어유!
우짜고 어떻게 하려고 예) 우짜고 이래 됐심더?
고것 그것 예) 고것 좀 줘유
그라모 그래도 예) 그라모 내가 할란다유
갑서 갑시다 예) 이제 집에 갑서
얼매나 얼마나 예) 얼매나 기다렸심?
어쩌시노 어떻게 지내세요? 예) 요즘 어쩌시노?
묵다 먹다 예) 밥 묵었심꺼?
아부지 아버지 예) 아부지 어디가심?
어무니 어머니 예) 어무니 안녕하심더?
니기리 너 (친근한 말투) 예) 니기리 어디 가노?
덜그럭덜그럭 덜컹덜컹 (소리) 예) 달구지가 덜그럭덜그럭 움직인다
그라지마 그러지 마 예) 그라지마라, 다 괜찮심더
괜찮다잉 괜찮아, 문제없어 예) 괜찮다잉, 걱정 마유
얼매나유 얼마나요? 예) 얼매나유 기다리셨심?
데그라 그렇지 예) 데그라, 네 말이 맞심더
 

충청도 사투리 특징

  • 말 끝에 ‘-유’, ‘-심더’, ‘-이여’ 등 부드럽고 살짝 늘어지는 어미가 많음
  • 존댓말과 반말이 자연스럽게 섞인 느낌 (예: ‘고마워유’, ‘밥 묵었심더’)
  • ‘그라제’, ‘우짜고’처럼 의문사나 연결어가 특징적
  • ‘배추잎’ 같은 귀엽거나 놀릴 때 쓰는 별칭이 많음
  • 어휘가 부드럽고 친근한 느낌을 줌

전라도·경상도·충청도 사투리 발음 약화·생략 비교

구분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 충청도 사투리
받침 약화/생략 ‘것’ → ‘거시기’ 줄여서 ‘거시’처럼 받침 흐려짐
예: “거시기 좀 줘” 발음 약해짐
받침 발음이 비교적 강함
예: ‘것’ → ‘것’ (뚜렷하게 발음)
받침이 부드럽고 약해짐
예: ‘갑서’ → ‘갑써’(서가 써로) 발음 약함
모음 약화/축약 어미 모음이 약해짐
예: “진짜루” → ‘진짜루’ 약하게 흐름
모음 강세가 강함
예: “진짜로”가 강하게 발음
모음 늘어지고 흐려짐
예: “진짜루” → ‘진짜루~’ 끝 음 약해짐
음절 탈락/생략 중간 음절 탈락 많음
예: ‘그라제’ → ‘그라제’(비슷하지만 줄어듦)
음절 완전 탈락 적음
예: ‘그라제’ 강하게 발음
중간, 끝 음절 축약 흔함
예: ‘모르겠다’ → ‘모르겄다’
연음 현상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연음 자음 분명히 끊는 편 부드럽고 느릿느릿 이어짐
끝소리 변화 ‘심보’ → ‘심부’ 같은 변화도 있음 끝소리 변화 적음 ‘심보’ → ‘심버’로 변화 흔함
 

대표 예시 문장별 비교

문장 / 전라도 사투리 / 경상도 사투리 / 충청도 사투리
“그거 좀 줘” “거시기 좀 줘” (받침 흐림) “그것 좀 줘” (뚜렷) “고것 좀 줘유” (받침 약함)
“진짜로 맛있다” “진짜루 맛있다” (모음 약화) “진짜로 맛있다” (강세 뚜렷) “진짜루 맛있네유” (끝 음 흐림)
“어떻게 지내요?” “어쩌시나?” (모음 줄임) “어케 지내노?” (강한 어미) “어쩌시노?” (느릿하고 부드러움)
“모르겠다 아이가” “모르겠다 아이가” (모음 약화) “모르겠다 아이가” (강세 뚜렷) “모르겄다 아이가” (음절 축약)
 

정리

  • 전라도: 모음 약화와 중간 음절 탈락이 많고, 부드럽고 느린 말투
  • 경상도: 발음 강하고 명확하며, 받침과 음절이 잘 살아 있음
  • 충청도: 받침과 모음이 흐려지고 축약되는 현상이 많으며, 느릿느릿 부드럽게 이어짐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각 지역별 인사말 15가지씩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전라도 인사말 / 경상도 인사말 / 충청도 인사말
어찌 지내시나? 어데 가노? 어쩌시노?
밥 묵었심나? 머하노? 밥 묵었심꺼?
안녕하신교? 안녕하십니꺼? 고마워유
고마워라 밥 무라 갑서
잘 지냈나? 고마우이 잘 있심더유?
오늘 날씨가 어떻나? 오늘 날씨가 어떻노? 오늘 날씨 어떠심유?
뭐하노? 뭐 하노? 뭐 허유?
잘 자라 잘 자라 잘 자유
어데 살고 있노? 어데 사노? 어데 살심유?
밥 먹었나? 밥 묵었나? 밥 묵었심유?
건강하제 건강하노? 건강하심유?
잘 있었나? 잘 있었노? 잘 있었심유?
오랜만이네 오랜만이노 오랜만이심유
뭐 묵을라우? 뭐 묵을래? 뭐 묵을라우?
오늘 어데 갈라카노? 오늘 어데 갈라카? 오늘 어데 갈라우?
 

전라도·경상도·충청도 높임말 비교

구분 / 전라도 높임말 특징 / 경상도 높임말 특징 / 충청도 높임말 특징
말 끝 어미 ‘-심다’, ‘-심니’, ‘-심더’ 많이 사용
예) “어쩌시나?”, “밥 묵었심니?”
‘-니꺼’, ‘-이소’, ‘-십니꺼’ 등 강한 존댓말
예) “어디 가십니꺼?”, “밥 무라 이소”
‘-심더’, ‘-유’ 어미가 많고 부드러움
예) “어쩌시노?”, “밥 묵었심유?”
존댓말 강도 부드럽고 친근한 존댓말 느낌
가끔 반말 섞임
강하고 공식적인 존댓말 많음
엄격한 어투
부드럽고 느릿느릿한 존댓말
매우 친근하고 자연스러움
대표 인사말 “어쩌시나?”, “밥 묵었심니?”, “안녕하신교?” “안녕하십니꺼?”, “어디 가십니꺼?” “어쩌시노?”, “밥 묵었심유?”, “안녕하심더유?”
명령형 존댓말 ‘-소’ 어미 사용
예) “가소”, “오소”
‘-이소’, ‘-이래’ 사용
예) “가이소”, “오이래”
‘-서’ 어미 사용
예) “갑서”, “와서”
감탄 표현 ‘고마워라’, ‘고맙심다’ ‘고마우이’, ‘감사하이소’ ‘고마워유’, ‘감사합니더’
 

 

전라도·경상도·충청도 반말 비교

구분 / 전라도 반말 특징 / 경상도 반말 특징 / 충청도 반말 특징
말 끝 어미 ‘-나’, ‘-다’, ‘-라’ 자주 사용
예) “뭐 하노?”, “밥 묵었나?”
‘-노’, ‘-나’, ‘-재’ 사용
예) “머하노?”, “밥 무라”
‘-유’, ‘-야’, ‘-다’ 사용
예) “뭐 허유?”, “밥 묵었나?”
말투 분위기 부드럽고 다정한 느낌
존댓말과 자연스레 섞임
직설적이고 강한 느낌
짧고 굵게 표현
부드럽고 느릿느릿한 느낌
친근하고 살짝 늘어짐
대표 표현 “어디 가노?”, “밥 묵었나?”, “뭐 하노?” “어데 가노?”, “밥 무라”, “머하노?” “어디 가유?”, “밥 묵었나?”, “뭐 허유?”
명령형 ‘-라’ 많이 사용
예) “가라!”, “와라!”
‘-라’, ‘-재’ 자주 사용
예) “가라!”, “오재!”
‘-서’, ‘-유’ 사용
예) “갑서”, “와유”
친근한 부르기 ‘니’, ‘너’ 많이 사용 ‘니’, ‘너’ 많이 사용 ‘니’, ‘니기리’(친근한 느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