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피사계 심도란? (Depth of Field, DOF)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 DOF)**란 사진에서 초점이 맞아 선명하게 보이는 영역의 깊이를 말합니다.
심도가 얕다 → 배경 흐림
심도가 깊다 → 전체가 선명
📗 2. 조리개(F값)란?
**조리개(Aperture)**는 카메라 렌즈 안에서 빛이 들어오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보통 **F값(f-number, f-stop)**으로 표시됩니다. 예: f/1.8, f/4, f/11
F값조리개 상태 / 심도 / 배경 표현 / 빛의 양
f/1.4, f/2 | 아주 많이 열림 | 얕은 심도 | 배경 흐림 (보케 효과) | 빛 많이 들어옴 |
f/4 ~ f/5.6 | 중간 | 중간 심도 | 인물에 초점, 배경은 흐릿 | 일반적 밝기 |
f/8 ~ f/16 이상 | 작게 열림 | 깊은 심도 | 전체가 선명하게 보임 | 빛 적게 들어옴 |
📕 3.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주는 3요소
요소 / 설명 / 효과
조리개(F값) | 가장 직접적인 심도 조절 수단 | F값 ↓ → 배경 흐림 (얕은 심도) F값 ↑ → 전체 선명 (깊은 심도) |
초점 거리(렌즈 화각) | 망원렌즈는 심도를 얕게, 광각렌즈는 깊게 | 망원(85mm~) → 배경 흐림 광각(24mm) → 전체 선명 |
피사체와 배경 거리 | 피사체가 배경과 멀수록 배경이 더 흐려짐 | 피사체와 배경 거리를 두면 흐림 효과 증가 |
📸 4. 실제 조절 방법
📷 DSLR / 미러리스 카메라 사용 시
- 모드 다이얼을 A(Av) 모드로 설정 → 조리개(F값)를 수동으로 조절
(카메라가 자동으로 셔터속도, ISO를 조정해 줌) - 인물: f/1.8~f/2.8
- 풍경: f/8~f/11
📱 스마트폰 사용 시
- **‘프로 모드’, ‘수동 모드’**에서 조리개(F) 조절 가능한 모델(일부 고급 기종만 가능)
- 대부분은 ‘인물 모드’ 사용 시 자동으로 얕은 심도 적용
🧠 보너스 - 용어 한눈에 정리
용어 / 뜻 / 사진에서 효과
조리개 (Aperture) | 빛이 들어오는 구멍 크기 | 조절로 심도·노출 제어 |
F값 (f-number) | 조리개 크기의 수치 표현 | 작을수록 구멍 큼, 얕은 심도 |
얕은 심도 (Shallow DOF) | 초점 맞는 범위 좁음 | 배경 흐림, 인물 도드라짐 |
깊은 심도 (Deep DOF) | 초점 맞는 범위 넓음 | 전체가 선명, 풍경에 적합 |
보케 (Bokeh) | 배경 흐림 효과 | 조리개가 클수록 더 부드럽고 예쁨 |
🎯 요약
- 인물/제품 사진 → f/1.8~f/2.8 (얕은 심도, 배경 흐림)
- 풍경/여행 사진 → f/8~f/16 (깊은 심도, 전체 선명)
- 조리개만 잘 조절해도 전문가처럼 보입니다!
'영상제작 팁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셔터 속도 조절 (8) | 2025.06.11 |
---|---|
7. ISO 설정 최적화 (0) | 2025.06.11 |
5. 배경 체크하기 (0) | 2025.06.11 |
4. 초점 정확히 맞추기 (2) | 2025.06.11 |
3. 삼분할 구도 사용 (2)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