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삼분할 구도 사용

2025. 6. 11. 20:30영상제작 팁 (사진)

📸 삼분할 구도란?

사진의 프레임(화면)을 가로 3등분, 세로 3등분 해서, 총 9개의 칸4개의 교차점이 생기도록 상상해보세요.
이 네 군데의 교차점 중 하나에 주요 피사체(사람, 사물 등)를 배치하면,
사진이 훨씬 안정적이고 자연스럽게 보이게 돼요.

이건 사진뿐 아니라 회화, 영화, 드라마, 광고 포스터 등 시각 예술 전반에 사용되는 구도예요.


🎯 왜 삼분할 구도를 쓰면 좋을까?

  • 📐 시선이 편안해요
    사람 눈은 정중앙보다 살짝 비껴간 곳을 더 흥미롭게 느껴요. 그래서 중심을 약간 벗어난 교차점에 피사체를 두면 시선이 자연스럽게 흘러요.
  • 📏 밸런스가 좋아요
    좌우나 상하가 너무 무겁거나 비어보이지 않게 돼요. 마치 그림처럼 조화로운 화면이 만들어져요.
  • 🧠 전문가처럼 보여요!
    그냥 아무 데나 피사체를 놓는 것보다, 이 구도를 사용하면 훨씬 세련되고 의도 있어 보입니다.

🎬 삼분할 구도, 이렇게 사용해보세요

✅ 1. 인물 사진

  • 인물의 을 위쪽 가로선의 교차점에 맞춰보세요.
  • 얼굴을 왼쪽 교차점에 두면, 오른쪽 여백이 생기면서 인물이 ‘어디를 바라보는지’ 상상할 수 있어요.

📌 예시:
친구가 바다를 배경으로 서 있을 때, 친구 얼굴을 왼쪽 위 교차점에 놓고, 오른쪽엔 넓은 바다를 담으면
“아, 이 친구가 저 멀리 수평선을 바라보는구나~” 하는 이야기가 있는 사진이 돼요.


✅ 2. 풍경 사진

  • 지평선이나 수평선을 위나 아래 가로선에 맞추세요.
  • 하늘이 멋질 때는 지평선을 아래쪽 선에,
  • 땅이나 사물이 멋질 때는 지평선을 위쪽 선에!

📌 예시:
노을이 정말 예쁜 저녁이라면, 하늘을 더 많이 보여주기 위해 지평선을 아래쪽에 맞춰서 찍는 거예요.
이렇게 하면 하늘이 더 강조되고, 보는 사람이 감탄하게 되죠.


✅ 3. 사물 사진 (음식, 소품 등)

  • 메인 사물을 한쪽 세로선 근처나 교차점에 놓고, 나머지 공간엔 여백이나 분위기 있는 배경을 넣어요.

📌 예시:
카페에서 커피잔을 찍는다고 해볼게요.
커피잔을 오른쪽 아래 교차점 근처에 두고, 왼쪽 공간엔 창밖 풍경이나 책, 노트북 같은 소품이 들어오게 하면,
“아, 여유로운 오후의 순간이구나” 하는 감성이 전해져요.


📱 삼분할 구도 쉽게 찍는 방법

스마트폰에서는?

  • 대부분의 스마트폰 카메라 설정에서 ‘그리드’ 또는 ‘격자선’ 표시를 켤 수 있어요.
    • 아이폰: 설정 → 카메라 → ‘그리드’ 켜기
    • 갤럭시: 카메라 → 설정 → ‘구도 보조선’ 켜기

DSLR, 미러리스에서는?

  • 카메라 설정에서 Live View 모드로 보면서 격자선을 켜면 실시간으로 삼분할을 확인할 수 있어요.
  • 파인더로 찍을 때도 삼등분을 마음속으로 상상하며 찍는 습관을 들이세요!

💡 실전 팁

  • 📌 꼭 네 개의 교차점 중 하나에만 맞출 필요는 없어요!
    그냥 대강 그 근처에 놓는 것만으로도 훨씬 안정적인 사진이 돼요.
  • 📌 중앙 정렬이 더 어울리는 경우도 있어요!
    대칭 구도, 강렬한 인물 표현 등은 중앙이 더 효과적일 때도 있어요.
    하지만 삼분할은 기본으로 알고 있으면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서 좋아요.

🖼 예시를 말로 그려보면?

해 질 무렵 한강에서 커플 사진을 찍어요.
해는 오른쪽 위에 위치해 있고, 커플은 왼쪽 아래 교차점 근처에 있어요.
이때 사진을 보면 — 두 사람은 손을 잡고 석양을 바라보고 있고, 그 따뜻한 주황빛이 여백 속에 가득 퍼져 있어요.
단순히 커플만 찍은 게 아니라, 그들이 바라보는 풍경과 감정까지 담아낸 사진이 되는 거죠.


이처럼 삼분할 구도는 아주 쉽지만, 진짜 마법처럼 사진을 바꿔주는 테크닉이에요.

'영상제작 팁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배경 체크하기  (0) 2025.06.11
4. 초점 정확히 맞추기  (2) 2025.06.11
2. 골든아워 활용  (2) 2025.06.11
1. 빛 이해하기  (0) 2025.06.11
사진 잘 찍는 30가지 방법  (0) 2025.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