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 팁 (편집)

초보자도 쉽게 배우는 DaVinci Resolve 효과 적용과 렌더링 완벽 가이드

쁘띠샤띠RA 2025. 6. 21. 13:24

안녕하세요, 샤띠예요!


오늘은 영상 편집에서 꼭 알아야 할 효과 및 필터 적용렌더링 및 출력 방법을 쉽게 알려드릴게요.

영상에 멋진 효과를 넣어 분위기와 개성을 살리고, 최종 결과물을 원하는 포맷과 해상도로 깔끔하게 완성하는 과정까지!
처음 해보는 분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 테니 걱정 마세요.

그럼, 영상 퀄리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여정을 지금부터 시작해볼까요? 😊

 

✨ 효과 및 필터 적용하기 과정을 보기 쉽게 표로 정리해드릴게요.

 

단계 / 설명 / 세부 내용 및 팁
1. 효과 라이브러리 열기 DaVinci Resolve 편집(EDIT) 탭에서 효과 라이브러리 열기 왼쪽 상단의 Effects Library 클릭 → 다양한 효과와 필터 확인 가능
2. 필터 및 효과 선택하기 원하는 효과 선택 후 적용 OpenFX 카테고리에서 블러, 샤픈, 스타일 효과(비네팅, 빛 번짐 등) 선택 → 영상 클립 위로 드래그
3. 효과 세부 조절 Inspector 창에서 효과 조절 타임라인에서 클립 클릭 → 오른쪽 상단 Inspector 창 열기 → 강도, 범위, 색상 등 슬라이더로 조절 가능
4. 미리보기와 조정 적용 효과 실시간 확인 타임라인 재생 버튼 클릭 → 영상 분위기 맞는지 확인, 너무 과한 효과는 피하기
5. 효과 복사 및 붙여넣기 여러 클립에 같은 효과 적용 효과 적용된 클립 선택 → Ctrl + C 복사 → 붙여넣기할 클립 선택 → Ctrl + V 붙여넣기
 

단계별로 꼭 주의할 사항

 

단계 / 주의할 점 및 설명
1. 효과 라이브러리 열기 - 효과가 너무 많아 헷갈릴 수 있으니 필요한 효과만 선별해서 사용하세요.
2. 필터 및 효과 선택하기 - 효과를 무작정 많이 적용하면 영상이 과도하게 변질될 수 있으니 적절히 사용하세요.
- 잘못된 위치에 드래그하면 원하지 않는 클립에 적용될 수 있어 정확히 원하는 클립 위에 드래그하세요.
3. 효과 세부 조절 - 강도를 너무 높이면 영상이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 숫자 수치를 급격히 변경하기보단 조금씩 조절하며 변화를 확인하세요.
- 너무 많은 효과를 동시에 적용하면 렌더링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4. 미리보기와 조정 - 재생 시 렉이 걸리면 미리보기 품질을 낮추거나 렌더 캐시를 활용하세요.
- 효과가 영상과 어울리는지 여러 번 확인하며 조정하세요.
5. 효과 복사 및 붙여넣기 - 클립별 상황에 따라 효과 조절값이 달라질 수 있으니 복사 후에도 개별 조정 필요합니다.
- 붙여넣기 시 클립을 정확히 선택해야 원하는 곳에 효과가 적용됩니다.
 

 

 

🖥️ 렌더링 및 출력하기 (초보자도 쉽게 영상 완성하기)

 

🖥️ 렌더링 및 출력하기’ 과정과  단계별 주의할 점

 

 

단계 / 설명 / 주의할 점
1. Deliver 탭으로 이동 DaVinci Resolve 오른쪽 아래의 Deliver 탭 클릭하여 출력 설정 화면으로 이동 탭을 잘못 클릭하면 설정 화면이 다를 수 있으니 Deliver 탭인지 꼭 확인
2. 렌더링 기본 설정 - Filename: 완성 영상 파일 이름 입력
- Location: ‘Browse’ 버튼으로 저장할 폴더 선택
파일 이름에 특수문자 사용 자제
저장 위치는 충분한 용량이 있는 폴더로 지정
3. 출력 포맷 선택 - Render Settings에서 원하는 포맷 선택
- 일반적으로 MP4(H.264) 사용
- 고화질 원하면 MOV, ProRes 선택 가능 (파일 용량 큼)
포맷과 코덱 선택 시 재생 기기 호환성 확인
용량과 화질 간 균형 고려
4. 해상도 및 프레임레이트 확인 - 프로젝트 해상도(예: 1920x1080) 및 프레임레이트(예: 30fps) 확인
- ‘Use project settings’ 체크 시 자동 적용
프로젝트 설정과 다르게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
특히 프레임레이트 불일치는 영상 끊김 유발 가능
5. 타임라인 범위 지정 - 전체 렌더링: ‘Entire Timeline’ 선택
- 구간 렌더링: ‘In/Out Range’ 선택 후 인/아웃 지점 설정
구간 설정 시 시작과 끝 위치를 정확히 지정하지 않으면 원하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음
6. 렌더 큐에 추가 ‘Add to Render Queue’ 클릭하여 렌더링 목록에 작업 추가 작업 추가 후 렌더 큐에 제대로 추가되었는지 반드시 확인
7. 렌더링 시작 Render Queue 패널에서 ‘Start Render’ 버튼 클릭해 렌더링 시작 렌더링 중 컴퓨터 강제 종료, 절전 모드 주의
렌더링 완료 전 다른 작업은 가능한 한 피하기
8. 완성 영상 확인 렌더링 완료 후 저장 위치에서 영상 파일 재생 및 영상, 음향, 효과 등 확인 영상과 음향 싱크, 화질, 효과 이상 유무 꼼꼼히 체크
문제 발견 시 다시 렌더링 진행 필요
 

오늘은 영상 편집의 핵심인 효과 및 필터 적용부터 렌더링 및 출력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정리해봤어요.

작은 효과 하나가 영상의 분위기를 확 살려주고,
꼼꼼한 출력 설정이 최종 퀄리티를 좌우하니까요!

여러분도 차근차근 따라 하시면서
나만의 멋진 영상을 완성해 보세요.

편집할 때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 주세요!
함께 성장하는 샤띠가 늘 응원할게요. 😊

행복한 편집 시간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