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 팁 (편집)
영상 색감 완전 정복! 다빈치 리졸브 노드 기반 컬러 그레이딩 & 명도별 활용법 30가지
쁘띠샤띠RA
2025. 6. 20. 19:34
1. 컬러 그레이딩(Color Grading) — 영상에 생명 불어넣기
영상의 색감과 분위기를 조절해 작품에 독특한 개성과 느낌을 부여하는 작업입니다.
- 왜 중요한가?
컬러 그레이딩은 영상의 무드, 시간대, 감정 표현을 극대화하고 영상 전체의 톤을 통일시켜 프로페셔널한 완성도를 만들어 줍니다. - 다빈치 리졸브 활용법
- Color 페이지로 이동
- 노드 기반의 색 보정 기능을 사용해 밝기, 대비, 색조, 채도 등을 세밀하게 조절
- 각 장면별로 분위기에 맞게 컬러 스타일을 입힐 수 있음
2. 영상별 적용 예시 설명
No / 화면 종류 / 적용 가능한 색 보정 예시 및 설명
1 | 야외 풍경 | 자연광을 강조하기 위해 대비를 높이고 채도를 적절히 올려 하늘의 푸른색과 나무의 녹색을 선명하게 표현합니다. 빛과 그림자의 균형을 맞춰 현장감을 살리며, 따뜻하거나 차가운 톤으로 분위기 조절도 가능합니다. |
2 | 인물 클로즈업 | 피부 톤이 자연스럽고 건강해 보이도록 밝기와 채도를 섬세하게 조절합니다. 주름이나 잡티는 적당히 부드럽게 하며, 눈과 입술 등의 디테일은 살려 인물의 매력을 돋보이게 만듭니다. |
3 | 야간 촬영 |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의 노이즈를 줄이고, 밝기를 올려 주요 피사체가 잘 보이도록 합니다. 차가운 푸른 톤 대신 따뜻한 오렌지빛을 가미해 아늑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
4 | 인터뷰 영상 | 인물의 피부톤을 자연스럽게 보정하면서 배경과 인물을 적절히 분리시켜 집중도를 높입니다. 채도를 살짝 낮춰 눈에 피로를 줄이고, 조명에 따른 과도한 명암은 노드로 조절해 깔끔한 화면을 완성합니다. |
5 | 액션 씬 | 역동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주기 위해 대비를 극대화하고 채도를 높여 색감을 선명하게 만듭니다. 빠른 움직임이 잘 보이도록 샤프니스와 하이라이트도 조절해 영상에 에너지를 더합니다. |
6 | 드라마틱 장면 | 명암비를 극대화해 깊은 그림자를 만들고,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차가운 색조를 적용하거나 반대로 따뜻한 색감을 더해 감정적인 분위기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
7 | 여행 브이로그 | 전체적으로 밝고 경쾌한 색감을 살리기 위해 채도와 대비를 높이고, 자연광 느낌을 살리면서도 영상이 활기차 보이도록 톤을 조절합니다. 사람과 배경 모두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 도시 야경 | 야경의 조명과 반짝임을 강조하기 위해 하이라이트를 살리고, 푸른색과 보라색 계열을 강화해 세련된 느낌을 줍니다. 대비를 높여 빛과 어둠의 대비가 뚜렷하도록 보정합니다. |
9 | 음식 촬영 | 음식의 신선함과 맛있어 보이는 색감을 위해 채도를 높이고, 붉은 색조를 강조합니다. 질감 표현을 살리기 위해 밝기를 섬세하게 조절하며, 그림자를 부드럽게 처리해 입체감을 높입니다. |
10 | 빈티지 스타일 영상 | 전체적으로 따뜻한 오렌지, 갈색 계열의 색조를 적용하고, 채도를 낮춰 옛날 필름 같은 느낌을 만듭니다. 약간의 그레인 효과를 추가해 복고풍 분위기를 살릴 수 있습니다. |
11 | 모노크롬/흑백 영상 | 색상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매우 낮은 채도로 설정하고, 명암비를 조절해 깊이 있는 흑백 화면을 만듭니다. 콘트라스트를 세밀하게 다뤄 드라마틱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12 | 스포츠 경기 | 빠른 움직임을 강조하기 위해 높은 대비와 선명도를 유지하고, 색상을 강하게 표현합니다. 움직임이 역동적으로 보이도록 블러 효과는 최소화합니다. |
13 | 애니메이션 | 채도를 극대화하고 균일한 색조를 유지하며, 밝기를 일정하게 조절해 깔끔하고 선명한 화면을 만듭니다. 특정 색상을 강조하거나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
14 | 뮤직비디오 | 영상의 분위기에 맞게 색감을 극적으로 조절합니다. 대비와 채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며, 영상마다 다르게 스타일리시하거나 몽환적인 톤을 만드는 데 집중합니다. |
15 | 로맨틱 장면 | 따뜻하고 부드러운 톤을 강조하기 위해 밝기를 약간 올리고, 채도를 조절해 은은한 핑크빛이나 오렌지빛이 돌도록 보정합니다. 영상에 아련한 느낌을 더합니다. |
16 | 공포/스릴러 장면 | 차가운 파란색 톤을 강조하며, 채도를 낮추고 명암 대비를 극대화해 음산하고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만듭니다. 그림자 영역을 확실히 살려 미스터리함을 더합니다. |
17 | 패션 영상 | 피부톤과 배경을 명확히 분리하고, 색상을 강하게 해 세련된 이미지를 만듭니다. 하이라이트와 그림자를 조절해 질감과 입체감을 살리며, 브랜드 컬러에 맞춰 톤을 맞추기도 합니다. |
18 | 광고 영상 | 브랜드 아이덴티티 색상을 강조하고 선명한 색감과 높은 대비를 유지해 눈에 띄는 화면을 만듭니다. 특정 부분에 색 보정 노드를 분리 적용해 강조할 수 있습니다. |
19 | 자연 다큐멘터리 | 자연의 색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색조를 조절하고, 과도한 채도 조절은 피하며 밝기와 대비를 균형 있게 맞춥니다. 리얼리티와 현장감을 중요시합니다. |
20 | 드론 촬영 | 넓은 공간감과 경치를 살리기 위해 색상과 대비를 조절합니다. 하늘과 땅의 색을 각각 보정해 입체감과 깊이감을 살립니다. |
21 | 실내 촬영 | 인공조명의 색온도를 보정해 자연스러운 톤을 만들고, 따뜻하거나 차가운 느낌을 주기 위해 색조를 미세 조절합니다. 그림자와 하이라이트도 적절히 다룹니다. |
22 | 실루엣 영상 | 배경을 밝게 하고 인물은 어둡게 표현해 실루엣 효과를 강조합니다. 색조는 단순하게 유지하며 대비를 높여 인물 윤곽을 명확히 합니다. |
23 | SF/판타지 장면 | 비현실적이고 독특한 분위기를 위해 색조 변형, 강렬한 색상 강조, 특수 색감 효과를 적용해 미래지향적 또는 환상적인 느낌을 만듭니다. |
24 | 슬로우 모션 장면 | 부드럽고 은은한 색감과 밝기 조절을 통해 슬로우 모션 특유의 몽환적 느낌을 강조합니다. 움직임이 느리므로 색상 변화를 섬세하게 다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
25 | 타임랩스 영상 |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밝기 변화와 색상 균일화를 조절합니다. 대비를 조절해 전체 영상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만듭니다. |
26 | 건축/인테리어 영상 | 깨끗하고 선명한 색감, 채도와 대비를 조절해 공간의 디테일과 질감을 살립니다. 자연광과 인공조명이 조화를 이루도록 색온도를 맞춥니다. |
27 | 다큐멘터리 인터뷰 | 자연스러운 피부톤 보정과 배경 분리, 과한 색 보정 없이 사실감 있는 영상 구현을 목표로 합니다. 영상의 메시지가 명확히 전달되도록 색감과 밝기를 조절합니다. |
28 | 코미디/경쾌한 영상 | 밝고 화사한 색조와 높은 채도로 영상에 경쾌한 느낌을 주고, 대비를 조절해 영상의 명료성을 높입니다. 표정과 움직임이 돋보이도록 합니다. |
29 | 여행 기념 영상 | 따뜻하고 자연스러운 톤으로 추억을 담듯 부드럽고 풍부한 색감을 연출합니다. 자연광을 살리고 채도를 적절히 올려 생생함을 더합니다. |
30 | 어린이 영상 | 선명하고 밝은 색상, 높은 채도로 생동감을 주며, 부드러운 밝기 조절로 친근하고 밝은 분위기를 만듭니다. 알록달록한 색을 강조해 아이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합니다. |
3. 영상별 다빈치 리졸브 노드 기반 색 보정 방법과 적용 팁을 단계별로 설명
1. 야외 풍경 - 자연광 강조, 하늘과 녹색 살리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기본 노출과 대비 조절 (Lift, Gamma, Gain 조절)
- 노드2: 색조 조절 (Hue vs Hue)에서 하늘색과 녹색을 좀 더 선명하게
- 노드3: 채도(Saturation) 높여 자연색 강조
- 노드4: 미세 조정을 위해 컬러 커브 사용해 밝기 밸런스 맞춤
- 팁: 너무 과하지 않게 자연스러운 느낌 유지가 중요합니다.
2. 인물 클로즈업 - 피부톤 자연스럽게 살리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피부 톤 보정 (Hue vs Hue, Hue vs Sat)으로 붉은기 조절
- 노드2: 밝기와 대비 적절히 조절해 피부 결 살리기
- 노드3: 스킨 스무딩(Softening) 효과를 위한 미디언 블러(미세한 블러 필터) 적용
- 노드4: 하이라이트 및 섀도우 밸런스 맞춤
- 팁: 피부가 너무 인위적이지 않게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합니다.
3. 야간 촬영 - 노이즈 감소 및 따뜻한 톤 적용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노이즈 감소(Denoise) 기능 적용
- 노드2: 밝기와 대비 조절해 어두운 부분 명확히
- 노드3: 색조에서 파란색 톤을 줄이고 오렌지 톤 추가
- 노드4: 채도 약간 올리기
- 팁: 노이즈 감소는 과하면 디테일 손실이 크니 적절히 조절하세요.
4. 인터뷰 영상 - 피부 톤 보정과 배경 분리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피부 톤 맞춤(Hue vs Hue, Hue vs Sat)
- 노드2: 배경 흐림을 위한 마스크 설정 및 약간의 블러 효과 적용
- 노드3: 전체 밝기 및 대비 조절
- 노드4: 눈과 입술 등의 디테일 살리기 위한 하이라이트 조절
- 팁: 마스크를 세밀하게 그려 자연스러운 배경 흐림을 만드세요.
5. 액션 씬 - 강렬한 색감과 대비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대비 극대화 (Lift, Gamma, Gain 조절)
- 노드2: 채도 높이기
- 노드3: 샤프니스 추가
- 노드4: 컬러 커브로 하이라이트와 섀도우 조절
- 팁: 너무 과하지 않게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합니다.
6. 드라마틱 장면 - 명암비 극대화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콘트라스트 높이기
- 노드2: 그림자 강조 및 밝은 부분 살짝 낮추기
- 노드3: 차가운 톤 또는 따뜻한 톤 선택적 적용
- 노드4: 색조 미세 조정
- 팁: 감정 전달을 위해 명암 조절에 신경 쓰세요.
7. 여행 브이로그 - 밝고 경쾌한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밝기, 대비 적당히 올리기
- 노드2: 채도 높여 생동감 강화
- 노드3: 색조 미세 조정(밝고 따뜻한 톤)
- 노드4: 하이라이트와 섀도우 밸런스 조절
- 팁: 활기찬 분위기 표현에 중점!
8. 도시 야경 - 세련된 블루 톤 강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하이라이트와 셰도우 조절
- 노드2: 블루와 보라 계열 채도 높임
- 노드3: 대비 조절로 빛과 어둠 명확하게
- 노드4: 노이즈 감소
- 팁: 빛 반짝임 살리기 위해 하이라이트 섬세하게 조정하세요.
9. 음식 촬영 - 신선함과 맛있어 보이는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 크게 올리기
- 노드2: 붉은 계열 색조 강조
- 노드3: 밝기와 콘트라스트 미세 조절
- 노드4: 샤프니스와 디테일 강조
- 팁: 음식 질감이 살아나도록 세밀하게 작업하세요.
10. 빈티지 스타일 영상 - 복고풍 톤 연출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 낮추기
- 노드2: 오렌지, 갈색 계열 색조 적용
- 노드3: 그레인(노이즈) 추가
- 노드4: 명암 조절 및 미세 블러 추가
- 팁: 자연스러운 빈티지 느낌을 위해 과하지 않게 적용하세요.
11. 모노크롬/흑백 영상 - 깊이 있는 흑백 연출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를 0으로 낮춰 흑백으로 전환
- 노드2: 명암비를 높여 그림자와 하이라이트 강조
- 노드3: 컬러 커브를 활용해 밝고 어두운 부분 미세 조절
- 노드4: 그레인 효과로 필름 느낌 추가 가능
- 팁: 콘트라스트 조절이 영상 분위기 결정에 매우 중요합니다.
12. 스포츠 경기 - 역동적이고 선명한 영상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대비와 채도 크게 올리기
- 노드2: 샤프니스로 움직임 선명하게 강화
- 노드3: 색조 조절로 브랜드 또는 팀 색상 강조
- 노드4: 빠른 장면 전환에 맞춰 밝기 균형 맞추기
- 팁: 너무 과하지 않도록 균형 유지가 중요합니다.
13. 애니메이션 - 선명하고 깔끔한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 최대화
- 노드2: 색조 균일화 및 밝기 일정하게 유지
- 노드3: 컬러 커브로 특정 색상 강조
- 노드4: 샤프니스 조절로 선명도 강화
- 팁: 색상의 균일함과 선명도가 애니메이션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14. 뮤직비디오 - 스타일리시하고 극적인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대비 극대화
- 노드2: 채도 및 색조 강하게 변형하여 독특한 무드 연출
- 노드3: 그레인 또는 빛 번짐 효과 추가
- 노드4: 컬러 커브로 톤과 감성 미세 조정
- 팁: 영상의 분위기와 음악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하세요.
15. 로맨틱 장면 - 따뜻하고 부드러운 분위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밝기 약간 올리기
- 노드2: 따뜻한 핑크빛이나 오렌지빛 색조 추가
- 노드3: 채도 적당히 조절해 은은한 느낌 만들기
- 노드4: 부드러운 블러나 빛 번짐 효과 활용 가능
- 팁: 과하지 않게 부드러운 톤 유지가 핵심입니다.
16. 공포/스릴러 장면 - 긴장감 있는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 크게 낮추기
- 노드2: 차가운 블루 톤 강조
- 노드3: 대비 높여 어두운 그림자 강조
- 노드4: 노이즈나 그레인으로 불안한 분위기 연출
- 팁: 색감과 명암 조절로 긴장감 극대화하세요.
17. 패션 영상 - 세련되고 선명한 이미지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대비 높이기
- 노드2: 피부 톤과 배경 분리 위해 색조 정밀 조정
- 노드3: 하이라이트와 섀도우 미세 조절
- 노드4: 브랜드 컬러 강조를 위한 색상 보정
- 팁: 디테일과 질감 살리기가 중요합니다.
18. 광고 영상 - 강렬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브랜드 컬러를 강조하는 색조 및 채도 조절
- 노드2: 대비 높여 눈에 띄게 표현
- 노드3: 샤프니스 및 하이라이트 조정
- 노드4: 특정 영역에 마스크 적용해 포인트 색상 강화
- 팁: 메시지 전달에 집중해 색 보정하세요.
19. 자연 다큐멘터리 - 리얼리티 살린 자연색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색조 조절 최소화, 자연스러운 색감 유지
- 노드2: 밝기와 대비 균형 맞춤
- 노드3: 노이즈 감소로 영상 깨끗하게
- 노드4: 미세 색 보정으로 현장감 살리기
- 팁: 과한 보정은 피하고 현실감을 유지하세요.
20. 드론 촬영 - 공간감과 깊이 강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넓은 공간을 강조하는 대비 조절
- 노드2: 하늘과 땅의 색상 분리 보정
- 노드3: 채도 조절로 생동감 부여
- 노드4: 하이라이트와 섀도우 미세 조정
- 팁: 입체감 살리는 색 보정에 집중하세요.
21. 실내 촬영 - 인공광 색온도 보정과 자연스러운 톤 만들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색온도 조절로 너무 차갑거나 따뜻한 빛 보정
- 노드2: 밝기 및 대비 조절로 공간 분위기 살리기
- 노드3: 그림자 부드럽게 조절해 인물과 배경 조화시키기
- 노드4: 채도와 하이라이트 미세 조정
- 팁: 조명 상태가 일정하지 않은 실내에서는 세밀한 톤 조절이 중요합니다.
22. 실루엣 영상 - 인물 윤곽 강조와 배경 밝기 조절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배경 밝기 크게 올리기
- 노드2: 인물 영역은 마스크로 선택해 어둡게 처리
- 노드3: 대비를 높여 실루엣이 뚜렷하게 보이도록 조정
- 노드4: 필요 시 색조 단순화
- 팁: 마스크 작업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부드럽게 가장자리 조절하세요.
23. SF/판타지 장면 - 비현실적이고 독특한 분위기 연출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색조 변형을 위해 Hue Shift 적용
- 노드2: 강렬한 색상 대비와 채도 조절
- 노드3: 광원 효과 및 색상 강조 노드 추가
- 노드4: 컬러 그레이딩으로 몽환적 느낌 극대화
- 팁: 과감한 색 보정과 특수 효과 활용으로 판타지 느낌 살리세요.
24. 슬로우 모션 장면 - 부드럽고 몽환적인 톤 조절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밝기 부드럽게 조절
- 노드2: 채도 약간 낮춰 은은한 느낌 만들기
- 노드3: 블러 또는 빛 번짐 효과 소량 적용 가능
- 노드4: 컬러 커브로 톤 미세 조정
- 팁: 영상 속도에 맞게 색감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유지하세요.
25. 타임랩스 영상 - 시간 흐름 표현과 색상 균일화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밝기 변화 조절로 시간대별 자연스러운 연결
- 노드2: 색조 균일화로 영상 전체 톤 통일
- 노드3: 대비 적절히 맞춰 명확한 이미지 표현
- 노드4: 색상 변화를 부드럽게 처리
- 팁: 영상이 너무 뚜렷하게 바뀌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조절하세요.
26. 건축/인테리어 영상 - 공간과 질감 선명하게 표현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대비와 샤프니스 높여 디테일 살리기
- 노드2: 색온도 맞춰 자연광과 인공광 조화
- 노드3: 채도 조절로 소재 색감 부각
- 노드4: 밝기 조절로 공간감 극대화
- 팁: 공간의 깊이와 질감이 돋보이도록 세밀한 조절 필수입니다.
27. 다큐멘터리 인터뷰 -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톤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피부 톤 자연스럽게 보정
- 노드2: 배경과 인물 분리 위한 마스크와 흐림 효과
- 노드3: 대비와 밝기 조절로 영상 깔끔하게
- 노드4: 색조 최소 조절, 리얼리티 유지
- 팁: 과하지 않게 자연스러운 톤 유지가 관건입니다.
28. 코미디/경쾌한 영상 - 밝고 화사한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와 밝기 크게 올리기
- 노드2: 색조 따뜻하게 조절
- 노드3: 대비 적당히 조절해 명료도 높임
- 노드4: 컬러 커브로 톤 세밀 조정
- 팁: 경쾌하고 유쾌한 분위기에 맞는 밝은 톤 유지하세요.
29. 여행 기념 영상 -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감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밝기 부드럽게 올리기
- 노드2: 따뜻한 색조 강조(오렌지, 노란색)
- 노드3: 채도 적절히 조절해 자연스러운 느낌
- 노드4: 하이라이트와 그림자 부드럽게 조절
- 팁: 추억처럼 따뜻하고 감성적인 톤 연출에 집중하세요.
30. 어린이 영상 - 선명하고 밝은 색상, 친근한 분위기
노드 설정 및 팁
- 노드1: 채도 극대화로 알록달록한 색감 강조
- 노드2: 밝기 높여 밝고 쾌활한 느낌 만들기
- 노드3: 컬러 커브로 부드러운 톤 조절
- 노드4: 샤프니스 적절히 조절해 또렷함 유지
- 팁: 아이들이 좋아할 만큼 밝고 화사한 색감을 유지하세요.
4. 다빈치 리졸브에서 노드 기반 색 보정 시 구체적인 세부 설정과
주요 메뉴 위치, 그리고 편리한 단축키를 10가지 대표 예로 자세히 설명
1. 기본 노출 및 대비 조절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Primary Wheels (Lift, Gamma, Gain)
- 설명:
- Lift: 그림자(어두운 부분) 밝기 조절
- Gamma: 중간 톤 밝기 조절
- Gain: 하이라이트(밝은 부분) 밝기 조절
- 단축키:
- 1 : Lift 활성화
- 2 : Gamma 활성화
- 3 : Gain 활성화
- 예시:
- Lift를 살짝 올려 그림자를 밝게 하고, Gain을 내리면 하이라이트가 덜 튀게 됨.
2. 채도 조절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Primary Wheels > Saturation 슬라이더
- 설명: 영상 전체 색상의 선명도 및 강도를 조절
- 단축키: 없음 (마우스 슬라이더 조절)
- 예시: 음식 영상에서 채도를 높여 색감을 더 선명하게 표현
3. 색조 조절 (Hue vs Hue)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Curves > Hue vs Hue
- 설명: 특정 색상(Hue)의 톤(색조)을 미세 조정
- 단축키: 없음
- 예시: 하늘 파란색을 좀 더 진하게 변경하거나, 피부 톤의 붉은 기를 줄이는 데 사용
4. 색상 대조 조절 (Hue vs Sat)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Curves > Hue vs Saturation
- 설명: 특정 색상의 채도를 조절
- 단축키: 없음
- 예시: 나뭇잎의 녹색 채도를 올려 더 생동감 있게 표현
5. 밝기 대 채도 조절 (Luma vs Sat)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Curves > Luma vs Saturation
- 설명: 밝기에 따라 채도를 조절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색 농도 차이 조절
- 단축키: 없음
- 예시: 밝은 부분 채도를 높이고 어두운 부분은 낮춰 입체감 부여
6. 컬러 커브로 톤 조절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Curves > Custom Curves (RGB Curves)
- 설명: 각 색상 채널별 밝기 곡선을 조절해 원하는 톤과 분위기 연출
- 단축키: 없음
- 예시: 빨간색 채널의 밝기를 낮춰 따뜻한 느낌을 부드럽게 조정
7. 노이즈 감소 적용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노이즈 감소 (Noise Reduction) 탭
- 설명: 영상 노이즈를 줄여 깨끗한 영상 표현
- 단축키: 없음
- 예시: 야간 영상이나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 감소로 품질 향상
8. 마스크(파워 윈도우) 적용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Window 탭
- 설명: 특정 영역만 색 보정 적용 가능 (원, 사각형, 커스텀 모양)
- 단축키:
- Shift + W : 윈도우 활성화
- 예시: 인물 피부만 선택해 밝기 및 채도 조절
9. 트래킹(Tracking) 기능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Window 탭 > 트래킹 아이콘
- 설명: 움직이는 대상에 마스크가 따라가도록 자동 추적
- 단축키: 없음 (마우스 클릭)
- 예시: 움직이는 얼굴에 피부 톤 보정 유지
10. 샤프니스 조절
- 설정 위치: Color 페이지 > Blur/Sharpen 탭 > Radius, Sharpness 슬라이더
- 설명: 영상의 선명도 조절
- 단축키: 없음
- 예시: 액션 영상에 선명함 강조, 혹은 부드러운 영상에 살짝만 조절
5. 색감별로 명도(밝기)에 따라 주는 느낌과,
각각 어떤 상황에 주로 쓰면 좋은지 색깔별로 2가지씩 정리
🔴 빨간색 (Red)
- 명도 높음 (밝은 빨강)
- 느낌: 활기차고 강렬하며 에너지 넘침
- 주로 쓰는 상황: 광고, 스포츠 경기, 액션 장면
- 명도 낮음 (어두운 빨강, 버건디)
- 느낌: 무게감 있고 열정적이며 긴장감
- 주로 쓰는 상황: 드라마틱한 장면, 로맨틱 또는 공포 씬
🔵 파란색 (Blue)
- 명도 높음 (밝은 하늘색)
- 느낌: 청량하고 시원하며 편안함
- 주로 쓰는 상황: 여행 브이로그, 자연 풍경, 하늘이나 바다 장면
- 명도 낮음 (어두운 네이비)
- 느낌: 신뢰감, 안정감, 진지함
- 주로 쓰는 상황: 뉴스, 다큐멘터리, 정적인 인터뷰
🟢 초록색 (Green)
- 명도 높음 (밝은 연두색)
- 느낌: 생기 있고 산뜻하며 건강한 이미지
- 주로 쓰는 상황: 자연 다큐, 건강 관련 콘텐츠, 환경 캠페인
- 명도 낮음 (짙은 녹색)
- 느낌: 안정적이고 깊이 있는 느낌, 신비로움
- 주로 쓰는 상황: 판타지 영상, 고급스러운 광고, 숲이나 자연 속 장면
🟡 노란색 (Yellow)
- 명도 높음 (밝은 노랑)
- 느낌: 경쾌하고 따뜻하며 긍정적인 느낌
- 주로 쓰는 상황: 어린이 영상, 코미디, 밝은 분위기 영상
- 명도 낮음 (머스타드, 짙은 노랑)
- 느낌: 빈티지하고 따뜻한 느낌, 차분함
- 주로 쓰는 상황: 빈티지 스타일 영상, 감성 여행 영상
🟣 보라색 (Purple)
- 명도 높음 (연보라색)
- 느낌: 신비롭고 몽환적이며 창의적 느낌
- 주로 쓰는 상황: 뮤직비디오, 판타지, 패션 영상
- 명도 낮음 (짙은 보라색)
- 느낌: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묵직함
- 주로 쓰는 상황: 고급 광고, 드라마틱 씬, 미스테리 장면
⚫ 검정색 (Black)
- 명도 낮음 (진한 검정)
- 느낌: 무게감, 긴장감, 깊이감
- 주로 쓰는 상황: 공포 영화, 심각한 다큐멘터리, 액션 씬
- 명도 높음 (짙은 회색 포함)
- 느낌: 차분하고 세련된 느낌
- 주로 쓰는 상황: 현대적인 광고, 도시 야경, 모던 디자인
오늘은 다빈치 리졸브에서 컷 작업 후 색감과 명도별 활용법까지 꼼꼼히 살펴봤습니다.
색 보정을 통해 영상 분위기를 완성하는 과정이 정말 흥미롭고 중요하다는 걸 다시 느꼈는데요,
저도 처음 배울 때는 막막했지만 꾸준히 하다 보니 점점 더 멋진 영상이 만들어지는 게 정말 신기했어요.
다음 시간에는 영상의 흐름과 메시지를 완성하는 핵심 단계인 스토리 구조 점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영상의 뼈대를 탄탄히 다져서 더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드는 방법,
기대해 주세요!